자료실         학술대회 발표논문

[29권 4호] 지방공무원의 시간사용이 공직전반에 대한 기대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66
저자: 전대성, 김장회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시간사용이 공직전반에 대한 기대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하여 지방공무원들의 직무만족도 등의 향상을 통한 조직성과 향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평균근무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대불일치는 커지는 반면 자율적인 근무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대불일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모호성은 자율적인 근무시간과 기대불일치간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조절변수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시간사용을 활용한 공무원들의 직무만족도 향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업무자율성 향상을 통한 성과향상 방안 그리고 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시간사용, 기대불일치, 자율적인 근무시간, 역할모호성

A Study on the Effect of Time Use of Local Public Officials on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the Overall Public Service

Jun, Daesung & Kim, Janghoi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ime use on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the overall public service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through which it suggests measures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local public offic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the overall public service of local public officials increased as the average working hours increase, but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utonomous working hours increase. In addition, the role ambiguity act as a negative regulatory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working hour and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ies to investigate measur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local public officials utilizing time use,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mproving work autonomy, and to reduce job stress of public officials.

[Key Words: time use, expectancy disconfirmation, autonomous working hours, role ambiguity]
목록